김남훈 KIM Nam Hoon

단지 우리의 위치를 이해하려고 노력했던 것뿐이야.

“질병은 단순히 불균형이나 부조화일 뿐 아니라 또한 그 무엇보다도 새로운 균형을 얻기 위해 인간 내부에서 자연이 시도하는 노력이다.” 나의 고민을 잘 대변해 주는 듯 조르주 캉길렘의 이 짧은 한 문장은 내게 많은 영감을 준다.

덧붙여 그는 질병은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일반화된 반응이며, 유기체는 회복하기 위해 스스로 질병이 된다고 했다. 그렇다면 질병은 내가 알고 있던 더럽고 위험하고 피해야 할 어떤 대상이 아니고 오히려 반겨야 할 존재란 말인가?

청테이프 작업은 눈앞에서 교통사고를 목격하면서 시작되었다. 어느 한 사람의 죽음이 흰색 스프레이 선으로 남고, 그 표식을 볼 때 비로써 그 사고자를 만나게 되는 경험을 한다. 그 전엔 미처 그를 알지 못했듯이. 그러한 흰색 스프레이 선을 내 기억 속 청테이프로 치환하고 기록하여, 수많은 익명의 죽음과 만남을 헤아려보는 작업이었다.

이후 나에게 중요해진 것은 사회적 맥락 안에 소외된 무엇을 단지 더듬어 보는 일이었던 것 같다. 누군가로부터 길 위에 버려진 사물들을 관찰하고, 경제적 논리에 철거된 건물의 폐허 속에서 수많은 세대가 거쳐 간 삶의 파편들을 수집하고 또 소독약에 담그기도 하고, 번잡한 도시 한복판 콘크리트 틈새에서 자신만의 터득한 방법으로 치열하게 삶을 영위하는 이름 없는 잡초에 물을 주고, 내 몸에 생겨나고 사라지며 흔적이 되기도 하는 상처들을 기록하고, 여름 내내 방치된 창가에 먼지처럼 쌓인 수많은 날벌레의 죽음들에 나의 시선이 향할 때 그것이 약하고, 병들고, 더럽고, 아름답지 않다고 인식하는, 우리가 우리 중심적 사고에서 만들어 낸 수많은 편견과 오류들에 미미하게나마 그 반대되는 힘을 보태는 것이기도 했다.

질병, 통증, 공포는 더 이상 장애가 아니라 정상적인 신체 방어의 일부라고 진화 생물학에서는 말한다.

내가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가 하나하나의 경우들을 살펴보고, 헤아리는 것은 그것을 증명하고자 함이 아니라 스스로 경험하기 위해 미약한 신호들을 감지하려 한 노력이라 할 수 있겠다.

우리가 원하는 대로, 우리의 시점과 이익의 해석이 아닌 내면의 정확한 방향 감각을 위해 무수한 신호를 보내고 돌아오는 신호로 나의 위치를 알 수 있듯, 가장 예민한 안테나를 세워 나의 작업이, 나의 질문이 내가 보낸 신호가 되어 되돌아와 나의 좌표를 알려주길 바란다.

2018.10월